본문 바로가기
백준 알고리즘 코딩

[C언어] 백준 10250번 ACM호텔

by 1005_ 2025. 3. 27.

[ 문제 ]

ACM 호텔 매니저 지우는 손님이 도착하는 대로 빈 방을 배정하고 있다. 고객 설문조사에 따르면 손님들은 호텔 정문으로부터 걸어서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방을 선호한다고 한다. 여러분은 지우를 도와 줄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한다. 즉 설문조사 결과 대로 호텔 정문으로부터 걷는 거리가 가장 짧도록 방을 배정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한다.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호텔은 직사각형 모양이라고 가정하자.

각 층에 W 개의 방이 있는 H 층 건물이라고 가정하자 (1 ≤ H, W ≤ 99). 그리고 엘리베이터는 가장 왼쪽에 있다고 가정하자(그림 1 참고). 이런 형태의 호텔을 H × W 형태 호텔이라고 부른다. 호텔 정문은 일층 엘리베이터 바로 앞에 있는데, 정문에서 엘리베이터까지의 거리는 무시한다. 또 모든 인접한 두 방 사이의 거리는 같은 거리(거리 1)라고 가정하고 호텔의 정면 쪽에만 방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림 1

 

방 번호는 YXX 나 YYXX 형태인데 여기서 Y 나 YY 는 층 수를 나타내고 XX 는 엘리베이터에서부터 세었을 때의 번호를 나타낸다. 즉, 그림 1 에서 빗금으로 표시한 방은 305 호가 된다.

손님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하는 거리는 신경 쓰지 않는다. 다만 걷는 거리가 같을 때에는 아래층의 방을 더 선호한다. 예를 들면 102 호 방보다는 301 호 방을 더 선호하는데, 102 호는 거리 2 만큼 걸어야 하지만 301 호는 거리 1 만큼만 걸으면 되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102 호보다 2101 호를 더 선호한다.

여러분이 작성할 프로그램은 초기에 모든 방이 비어있다고 가정하에 이 정책에 따라 N 번째로 도착한 손님에게 배정될 방 번호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이다. 첫 번째 손님은 101 호, 두 번째 손님은 201 호 등과 같이 배정한다. 그림 1 의 경우를 예로 들면, H = 6이므로 10 번째 손님은 402 호에 배정해야 한다.

[ 입력 ]

프로그램은 표준 입력에서 입력 데이터를 받는다. 프로그램의 입력은 T 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데 T 는 입력의 맨 첫 줄에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행으로서 H, W, N, 세 정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 호텔의 층 수, 각 층의 방 수, 몇 번째 손님인지를 나타낸다(1 ≤ H, W ≤ 99, 1 ≤ N ≤ H × W). 

 

2
6 12 10
30 50 72

[ 출력 ]

프로그램은 표준 출력에 출력한다. 각 테스트 데이터마다 정확히 한 행을 출력하는데, 내용은 N 번째 손님에게 배정되어야 하는 방 번호를 출력한다.

 

402
1203

[ 작성한 코드 ]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T;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int H; //호텔의 층수
    int W; //각층의 방수
    int N; // 몇번째 손님
    int x,y;
    int i;

    scanf("%d",&T);
    for(i = 0; i < T; i++)
    {
        x = 0; y =0;
        scanf("%d %d %d",&H,&W,&N);
        if(N % H == 0)
        {
            x = N / H;
            y = H;
        }
        else
        {
            x = N / H + 1;
            y = N % H;
        }

        printf("%d",y);
        if(x < 10)
        {
            printf("0%d\n",x);
        }
        else if(x>=10)
        {
            printf("%d\n",x);
        }
    }
    return 0;
}

 

이 문제의 핵심은 YXX 혹은 YYXX형태로 (Y = 층수, X = 엘리베이터에서부터의 거리) 표현되어있는 방호수를 구하기위한 수식을 찾아내는거라고 생각한다.

처음 문제를 풀었을 때 주어진 예제를 입력 후 정답을 찾아서 바로 제출했었지만 내가 생각하지 못한 조건을 추가해줬어야한다.

 

// y가 0이 될때를 고려해야함
// H = 6 W = 12 N =12일때를 예로 들어보면 됨
if(N % H == 0)
        {
            x = N / H;
            y = H;
        }

 

y의 값이 0이 나와버리면 호수를 구하는데 문제가 생기므로 이런 조건에서의 수식을 따로 정의해줬다.

알고리즘 분류

  • 수학
  • 구현
  • 사칙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