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M32

[STM32] NUCLEO-F439ZI 보드 사용하기

by 1005_ 2025. 4. 26.

학부시절에 임베디드 개발을 진행하며 가장 많이 사용했던 보드는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였다.

 

물론 강의를 듣고 실습을 진행할때 Atmega를 사용했지만, 그래도 아두이노랑 라즈베리파이가 익숙한건 사실이다.

 

졸업은 벌써 했지만 임베디드 산업에서 많이 쓰이는 STM32 보드를 다뤄보며 기록을 남겨보려 한다.

 

[ STM32 NUCLEO-F439ZI ]

내가 선택한 보드로 NUCLEO-F439ZI 이다.

 

144핀짜리 큰 보드로, STM32F4 시리즈 중 상위급 성능을 갖춘 MCU가 탑재되어 있다.

사실 주문할때는 크기에 대해서 별 생각없이 확장성이 좋고, 아두이노와도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st-link도 필요하지 않다고해서 구매했는데 처음 보드를 꺼내고 나서는 약간 당황스러웠다.

 

아두이노처럼 간단하게 시작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초기 설정부터 클럭 설정, GPIO 구성까지 생각보다 신경 쓸 게 많았다.

 

하지만 그만큼 제대로 공부해볼 기회라고 생각한다.

하나하나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블로그에 기록해두면, 나중에 다시 돌아봤을 때도 큰 자산이 될 것 같고 생각보다 stm32와 관련된 자료를 쉽게 찾기는 힘든 느낌이라 정리해두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이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TM32CubeMx를 다운받아야 한다.

 

https://www.st.com/en/development-tools/stm32cubemx.html << 이 주소로 들어가면 다운받을 수 있다.

 

 

위 주소로 들어가면 이 창이 뜰텐데 여기서 핑크색 박스를 클릭하면 화면 하단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본인의 환경에 맞게 다운로드 받으면 되는데 필자는 윈도우를 사용중이라 윈도우 버전으로 다운 받았다

 

필자와 같이 stm32를 처음 접하고 프로그램도 처음 다운받는 사람들은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다운받는걸 추천한다.

어짜피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위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다운받아야하는 패키지들이 있는데 이때 로그인을 해야 다운 받을 수 있는걸로 알고있다.

 

이 이후에는 설치를 위해 복잡한 과정이 필요한게 아니라 따로 캡처는 하지 않았다.

 

다음에는 보드에 관한 정보들을 들고 나타나겠다 !

 

'STM32'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M32] CubeMX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25.04.28